광고
광고

충남농기원, 염해에 강한 간척지 적응 벼 개발 ‘박차’

김병철 기자 | 기사입력 2024/08/28 [09:00]

충남농기원, 염해에 강한 간척지 적응 벼 개발 ‘박차’

김병철 기자 | 입력 : 2024/08/28 [09:00]

▲ 내염성 선발시험(육종온실)  /사진=충남도  © 아산투데이

 

 충남도 농업기술원은 쌀 수급 조절 및 농업용수 절약을 목표로 서해안 간척지 적응 벼 품종을 개발 중이라고 28일 밝혔다.

 

도내 전체 벼 재배 면적은 총 13만 ㏊로, 이 중 간척지는 10%에 달하는 주요 벼 농업지대다.

 

하지만 간척지는 바다를 막아 만든 만큼 토양 내 염분 함량이 높아 벼가 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염 피해 등으로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다.

 

염 피해는 비가 오지 않는 가뭄 기간 염 농도가 높아져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 기후변화로 가뭄이 길어지면서 피해 사례도 늘고 있다.

 

기상청의 ‘2023년 연 기상 가뭄 발생 특성’ 보고서에 따르면 1974년 관측 이래 10년 단위로 100일 이상 기상 가뭄이 나타난 햇수는 최근 10년(5회)이 다른 기간(0∼2회)에 비해 많았고 일수도 증가 추세다.

 

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 현장에서는 물 걸러대기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데, 관개를 수시로 해 염분을 낮출 수 있는 대신 농업용수가 많이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.

 

도 농기원은 기상 가뭄이 잦아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간척지에 더 잘 적응하는 벼 품종 연구를 추진 중으로, 새로운 품종 개발을 통해 농업용수를 절약하고 쌀 수급 조절에 이바지할 계획이다.

 

현재 실내 온실에서 벼의 염해 한계농도(0.3%)의 2배 이상인 0.75%까지 생육 단계별로 인위적인 염 스트레스를 가해 염해에 강한 유망 계통을 선발하고 있다.

 

선발 이후에는 서해안 간척지 및 기술원 내 시험연구용 포장에서 선발한 계통을 재배하며 생육 차이를 비교하고, 염해에 강한 계통을 최종 선발해 품종 등록할 예정이다.

 

이와 함께 식량 안보를 확보하고 쌀 수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간척지에 적응하는 사료용 벼 개발도 추진 중이다.

 

조기원 도 농기원 작물연구과 연구사는 “서해안 간척지 환경에 잘 적응하고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품질 밥쌀용 벼 품종과 사료용 벼 품종을 개발해 기후변화에 대응해 나갈 것”이라면서 “도내 간척지 벼 재배 농업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맞춤형 연구와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